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LS)

루게릭병으로도 알려진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은 척수, 뇌간, 운동 피질에서 운동 신경세포가 선택적으로 소실되는 치명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입니다. 미국인 약 3만 명이 루게릭병을 앓고 있으며, 한국에선 해마다 900명의 루게릭 환자가 발생합니다. 발병 후 평균 3~5년 안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새로 생기는 환자도 있어 한국에선 평균 2500~3000명의 루게릭병 환자가 생존해 있습니다. 루게릭병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건강한 성인에게도 발병합니다.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LS)

전임상 연구에 의하면 카나비노이드는 루게릭병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환자들의 사례를 보면 카나비노이드가 루게릭병의 진행을 완화하고 통증, 식욕 부진, 경련, 우울증, 침 흘림과 같은 특정 루게릭병 관련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보고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Amtmann 외. 2004. 근 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에서 대마초 사용 조사. 미국 호스피스 및 완화 치료 저널 21: 95-104]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퍼시픽 메디컬 센터의 연구자들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기타 운동 신경 장애 저널에서 루게릭병 증상 발병 전후에 THC를 투여하면 치료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질병 진행을 막고 동물의 생존을 연장한다고 보고했습니다.[라만 외. 2004.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 카나비노이드 치료에 따른 생쥐의 질병 진행 지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기타 운동 뉴런 장애 5: 33-39]

또 다른 연구에서 아칸소 대학교 연구자들은 카나비노이드 작용제 AM-1241을 투여하면 대조군에 비해 생존율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저자들은 “증상 발현과 함께 시작된 AM-1241의 효과는 증상 발현 전에 투여한 약물을 포함해 지금까지 보고된 어떤 약제보다도 뛰어나다”고 결론지었습니다.[슈메이커 외., 2007. CB2 카나비노이드 작용제 AM-1241은 증상 발병시 시작될 때 근 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형질 전환 마우스 모델에서 생존을 연장합니다. 신경화학 저널 101: 87]

식물 유래 대마초 추출물에 대한 연구에서도 마우스 모델에서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루게릭병 진행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모레노-마르테 외. 2014. SOD1(G93A) 형질전환 생쥐의 척수에서 체내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및 효소의 변화와 사티벡스와 유사한 식물성 카나비노이드 조합의 평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 대한 미래 치료법에 대한 관심. CNS 신경과학 및 치료 20: 809-815]

가장 최근에는 과학자들이 CBD가 루게릭병의 질병 조절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결론도 내렸습니다.[Dash 외. 2021. 단백질 병증을 역전시키는 카나비디올의 새로운 잠재력. 고령화 연구 리뷰 65.]

그러나 현재까지 루게릭병 환자에서 카나비노이드의 효능을 입증한 임상 데이터는 부족합니다.[Lim et al. 정신 질환, 운동 및 신경 퇴행성 장애에 대한 의료용 대마초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임상 정신 약리학 및 신경 과학 30: 301-312]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에서는 22명의 루게릭병 환자 집단에서 합성 THC 5mg을 하루 2회 투여했을 때 경련 강도가 완화되는 것을 밝혀내지 못했습니다.[Weber 외. 2009.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경련에 대한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무작위 이중 맹검 교차 시험.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과 저널 81: 1135-1140]

현재 자연 식물 대마 추출물의 루게릭병 진행 지연 및 환자 생존 연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Urbi 외. 2019.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또는 운동 신경 질환의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대마초 기반 의약품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연구의 연구 프로토콜: EMRALD 시험]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현재 이용 가능한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마초가 루게릭병의 진행을 상당히 늦추고 잠재적으로 기대 수명을 연장하고 질병의 전반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라고 말합니다.[카터 외. 2010. 대마초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 가상 및 실제 적용, 임상 시험 요청. 미국 호스피스 및 완화 의학 저널 27: 347-356]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의견을 반영하여 “루게릭병 환자의 약리학 적 관리에 카나비노이드 화합물의 사용을 권장 할 근거가 있습니다.” 라고 확신했습니다.[지아코포와 마존. 2016. 카나비노이드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 잠재적 인 치료 도구가 될 수 있습니까? 신경 재생 연구 11: 1896-1899]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