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증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최대 10초 이상 호흡이 자주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피로, 두통, 고혈압, 불규칙한 심장박동, 심장마비, 뇌졸중 등 다양한 생리적 장애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30~60세 남성의 약 4%, 여성의 약 2%가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에서 보고된 통계에 따르면 남성은 2015년 2만3,556명에서 2019년 6만9,435명, 여성은 동기간 5,699명에서 1만6,571명으로 늘었다고합니다.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연령별로는 40대가 6만4,741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대 6만3,903명, 30대 6만649명, 60대가 4만1,562명 순이었습니다.

한정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나비노이드는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미국 수면 의학 학회지 2002년 6월호에 일리노이 대학교(시카고 소재) 의과대학 연구진은 외인성 또는 내인성 카나비노이드를 투여한 쥐에서 수면 관련 무호흡증이 “강력하게 감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Carley 외. 2002. 수면 중 호흡 안정성에 대한 카나비노이드의 기능적 역할. 수면]
또 다른 동물 실험에서는 주사된 합성 THC가 쥐의 무호흡증을 완화하고 상부 기도 근육을 증강시킨다고 보고했습니다. [Calik 외. 2014. 드로나비놀의 정맥 내 신경절 주사는 스프래그-도울리 쥐에서 세로토닌 유발 무호흡을 약화시킵니다. 호흡기, 생리학 및 신경생물학]
임상 환경에서 드로나비놀을 투여하면 성인의 무호흡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3년 정신의학 분야의 프론티어 저널에 게재된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THC 투여가 3주 동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증상을 유의미하게 완화시켰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드로나비놀 치료는 일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서 실행 가능한 대안 또는 보조 요법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저자들은 결론지었습니다. [프라사드 외. 2013.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서 드로나비놀의 개념 증명 시험. 정신 의학의 프론티어]
중등도에서 중증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한 2018년 임상 시험에 따르면 취침 전에 드로나비놀을 투여하면 증상의 심각성이 감소하고 환자의 졸림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arley 외. 2018. 카나비노미메트릭 향상에 의한 무호흡증 약물 요법, PACE 임상 시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드로나비놀의 효과. 수면]
2017 년 미네소타 규제 당국은 의사가 의료용 대마초 치료를 권장 할 수있는 적격 조건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추가했습니다. [케빈 타카쿠와. 2018 주민들이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려는 미네소타의 노력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세요. 임상 수면 의학 저널]
최근 발표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 카나비노이드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조사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나빌론과 드로나비놀과 같은 합성 카나비노이드는 세로토닌 매개 무호흡증에 대한 조절 효과로 인해 수면 무호흡증에 단기간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BD는 렘수면 행동 장애 및 과도한 주간 졸음에 대한 유망한 치료법이 될 수 있으며, 나빌론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관련된 악몽을 감소시키고 만성 통증 환자의 수면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마초와 수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엇갈린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연구 및 임상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통제 및 종단 연구가 중요합니다.” [밥슨 외. 2017. 대마초, 카나비노이드 및 수면: 문헌 검토. 최신 정신의학 보고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관리에 카나비노이드 사용을 조사하는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며 불면증과 같은 다른 수면 관련 장애에 대한 사용을 평가하기위한 시험도 진행 중입니다. [Kaul 외. 2021. 카나비노이드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과 수면 장애에 대한 치료 잠재력. 신경 치료]
하지만 유망한 잠재적 증거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수면 장애 치료를위한 카나비노이드 요법의 일상적인 임상 사용이 더 연구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Suraev 외. 2020. 수면 장애 관리를위한 카나비노이드 요법: 전임상 및 임상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수면 의학 리뷰]
